최인기(사진 찍는 빈민운동가)


전국철거민연합 김소연 씨가 기자와 통화하는 내용을 옆에서 듣게 됐다. 그가 얼마나 가난했는지, 왜 그 나이 먹도록 집 없이 떠돌았는지, 가족과 친구와 이웃은 그의 죽음을 눈치 채지 못했는지, 장례식은 언제인지….

역설이지만, 철거민과 노점상은 누군가 죽어야만 사회적으로 관심을 받게 된다. 그 관심이란 것도 대부분 ‘동정’에 가려져 좀 더 구조적인 문제는 비정한 사회 탓으로 돌려지거나, 신파적 결론을 끝으로 대중의 기억 속에서 사라진다. 우리는 이미 박준경 열사가 돌아가시기 한 달 전 11월 6일 기자회견을 진행했고, 경찰청장과의 면담을 요구한 바 있다.

당시 경찰이 용역 폭력에 엄중하게 대처했다면 아현동 철거민 박준경의 죽음은 없었을 것이다. 왜 결국 누군가 희생을 당하고서야 뒤늦게 수습하려 드는가? “다 필요 없다”는 유가족의 절규가 귓가에 쟁쟁하다.[워커스 50호]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