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워커스

facebook
 
월간 워커스월간 워커스
월간 워커스
  • 정기구독 신청
Menu back  

“꿈꾸지 말고, 싫어하는 것은 하지 말아라”

홍재희, 최광희를 듣다
2016년 7월 27일Leave a comment20호, 고급ZineBy 신나리 기자

정운 기자

홍재희

독립 영화 감독. 인디포럼에 작품을 냈다가 떨어진 경험이 있다. 단편 <먼지>, <암사자(들)>, 독립 다큐멘터리 <아버지의 이메일>을 만들고 동명의 책을 냈다.


 

최광희 영화 평론가를 만난 날은 장맛비가 올 듯 말 듯 흐린, 초복을 앞둔 어느 날이었다. 그의 제안으로 인터뷰는 홍대 뒷골목, 동네 사람만 아는 맛집이 분명한 삼계탕 집에서 이루어졌다. 인삼주 한 잔에 소주 한 병을 곁들여.

 

 

홍재희(홍) 인터뷰 고수에게 인터뷰를 하다니 좀 이상하긴 하다. (웃음)

 

최광희(최) 하긴 난 인터뷰를 하는 쪽이지 인터뷰를 당해 본 적이 거의 없다. (웃음)

 

홍 인터뷰를 당할 때 주로 어떤 질문을 받는가.

 

최 영화 평론가에게 묻는 질문이야 뻔하지. ‘어떤 관점으로 평론을 쓰는가’, ‘어떤 영화가 좋냐’…. 직업적 정체성이 영화 평론가인데 그걸 빼면 내가 한 인물로서 무슨 재미가 있겠어.

 

홍 흠…. 나도 그런 뻔한 질문을 할 텐데 인터뷰에 응해 줘서 감사하다.

 

최 나야 늘 시간이 많아서. 원 데이 원 샷(One day, one shot)주의다.

 

홍 무슨 뜻인가.

 

최 다층적인 의미다. 술 마실 때 원 샷일 수도 있고 총 한 방 필름 쇼트일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일을 잡다하게 하지 말고 하루에 한 가지 일만 하자가 내 모토다.

 

홍 정말 하루에 한 가지 일만 하는가?

 

최 그게 마음대로 되겠나. 가급적 여러 일을 안 하려고 하지만 생각대로 안 된다.

 

홍 그럼 지금 인터뷰 하는 건?

 

최 이건 일이 아니지. 약속 만남은 일로 생각 안 한다. 대신 방송이나 시사회는 일이다. 프리랜서의 삶이란 건 자기 맘대로 되는 건 아니다. 프리랜서의 삶은 자유를 얻는 대신 생활을 잃는다.

 

홍 난 자유도 있고 생활도 넘치는데 돈만 없다.

 

최 갑이 부르면 언제든 가야 하는 게 프리랜서의 삶이잖나. (웃음)

 

홍 난 불러 주는 갑도 없다. (웃음)

 

 

드디어 삼계탕이 나왔다. 소소한 웃음이 오고 간 후 술잔을 들어 건배했다.

 

홍 개봉 영화는 다 보나?

 

최 다 볼 수는 없다. 방송을 해야 하니까 한 주에 소화해야 하는 게 세 편이다. 신작 세 편을 봐야 한다. 그걸 가지고 계속 재활용한다.

 

홍 이 방송에서 소개한 영화를 저 방송에도 소개하는 건가?

 

최 청취자와 시청자가 다 다르니까. 하지만 똑같은 방식으로 소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라디오는 좀 더 편안한 화법으로, 방송에서는 정해진 형식에 따라 원고를 직접 쓴다.

 

홍 보는 게 시간 낭비 같은 영화일 경우에는 어떻게 하나. 그래도 봐야 하나?

 

최 그런 건 안 본다. 건너뛴다. 하지만 쓰레기 영화인데도 꼭 봐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런 영화는 산업적 논리에 따라 스크린 독점을 할 거고 결국 대중이 굉장히 많이 볼 수밖에 없어서다. 그런 영화는 반드시 보고 논평해야 한다. 그래야 사람들이 낚여서 볼지라도 어떤 평론가가 이 영화에 대해 이런 비판을 했구나 알 수 있다. 내가 싫어하는 영화라서 외면해 버리면, 그 영화가 천만이 넘었는데도 관심 없다면 그것 또한 평론가의 직무 유기라고 생각한다. 평론가는 흥행이라는 현상에 대해서도 이야기를 해야 한다. 왜 이 영화가 21세기 2016년에 천만 명이라는 관객을 동원했는지, 그 사회적 맥락이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해야 한다. 예를 들어 <7번방의 선물>처럼 영화가 정말 형편없는데 관객 수 천만을 넘었다. 그럼 이게 뭘까 치밀하게 파고들어야 하는 거다.

 

홍 그 영화는 킬링 타임용 영화 아닌가. 가족들이 다 모인 명절 같은 날 함께 TV 보기 애매할 때 틀어 놓으면 딱 좋은 영화?

 

최 그렇게 말하니까 영화감독이 정말 무책임한 거야.

 

홍 이거 한 방 맞았는걸. (웃음)

 

최 시간이나 죽이는 영화라도 영화평론가는 왜 그게 천만 명이 넘었느냐를 분석해야 한다. 영화감독은 제 영화만 잘 찍으면 된다. 하지만 평론가는 영화 수백 편을 보고 그 영화에 대해 고민하고 시대적인 상관관계를 이야기해야 하는 거다.

 

홍 봐야 할 영화, 보기 싫어도 유의미성 때문에 본 영화 말고 시간이 안 맞아서 못 본 영화도 있지 않나. 그런 건 따로 챙겨 보나.

 

최 소위 쟁점이 될 만한 영화라고 판단하면 어떻게 해서라도 본다. 하지만 요즘에는 잘 안 그런다. 내가 지나치게 영화에 의미 부여를 하는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홍 본인이 참여했던 다큐멘터리 <정조문의 항아리>에 대해 이야기 좀 해 달라.

 

최 작년에 전주영화제 상영 이후, 일본에서 공동체 상영 중이다. <정조문의 항아리> 같은 영화는 지금 한국 영화 현실에서 극장 개봉은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생각한다. 돈 버는 영화가 아니니까. 다른 경로로 관객에게 다가가야겠지.

 

홍 참, 영화 만든다 하지 않았나?

 

최 내가 장편 극영화로 시나리오 쓴 게 하나 있다. 판타지 멜로, 저예산 상업 영화.

 

홍 해피 엔딩인가?

 

최 새드 엔딩이다.

 

홍 다음에는 영화 평론가가 아니라 감독으로 만나겠다.

 

최 그게 뭐 대수인가. 요즘엔 감독도 평론 많이 하는데. 평론가나 배우와 감독과의 경계는 이미 없어진 거 같다. 감독은 자기가 정말 하고 싶어 하는 말만 분명히 알면 된다. 나머지는 스탭이 다 알아서 하는 거 아닌가.

 

홍 그렇게 생각하다 망하는 수가 있다. (웃음)

 

최 아니 내가 카메라에 대해 촬영 감독보다 뭘 더 알겠어. (웃음)

 

홍 왜 영화 평론을 시작했는가.

 

최 편하니까. 보고 말하고 보고 말하고.

 

홍 편하다고? 보고 말하고 글 쓰고 또 보고 말하고, 피곤하지 않나.

 

최 세상에서 가장 편한 직업이 영화 평론가다. 본 대로 말하고 느낀 대로 쓰면 되는 거니까. 방송 기자 할 때다. 방송은 정해진 형식이 있다. 뭐든 거기에 딱 맞춰야 한다. 예를 들어 문장 9개에 내가 그날 취재하고 보고 느낀 걸 전부 우겨 넣어야 한다. 그것도 외압이나 데스크 입맛에 따라 고쳐진다. 하지만 평론은 그런 게 없다. 정해진 규격 형식이 없어 자유롭다.

 

홍 그래서 《필름 2.0》이라는 영화 잡지 기자가 된 건가.

 

최 영화 기자가 하고 싶어서 간 게 아니다. 방송 기자가 하기 싫었는데 날 받아 주는 데가 영화밖에 없더라. 그래서 간 거다. 기자 시절? 전혀 그립지 않다. 내가 강연할 때 ‘어쩌다가 영화 평론가가 되었나’, ‘언제부터 영화 평론가를 꿈꾸었나’라는 질문을 가끔 받는다. 그러면 난 ‘삶은 꿈꾸는 대로 되지 않는다’라고 대답한다. 사람들을 보면 ‘이건 정말 하고 싶어’보다는 ‘이건 죽어도 하기 싫어’라는 게 더 많다. 그러니까 그걸 하지 말라는 거지. 싫어하는 것만 피해도 살아지더라. 요즘 한국 사회 주류 담론이 ‘꿈은 이루어진다’, ‘희망을 꿈꿔라’ 이따위 소리잖나. 그런데 이 사회 사람 중에 도대체 몇 퍼센트가 그 꿈을 실현하고 살고 있겠어. 기만인 거지. 그런데 그 기만을 확대 재생산하고 있다.

 

홍 꿈을 이루기 위해선 하기 싫어도, 힘들어도 참으라고 하는 거처럼?

 

최 그렇다. 그러니까 참지 말라는 거다. 여러분! 꿈꾸지 마시라. 대신 싫어하는 건 절대, 죽어도 하지 마시라.

대화를 강연으로, 인터뷰를 논쟁으로 바꿔 버리는 게 바로 평론가의 정체성인지 모른다. 싫은 건 죽어도 하지 말라는 말을 남기고 최광희 영화 평론가는 총총 자리를 떴다. 그 말이 맞다. 하고 싶은 것보다 하기 싫은 게 더 많은 세상이다. 이런 세상에서 그는 까칠하게 꿈꾸지 말라지만 그래도 난 내 멋대로 꿈꾸련다. 평론가가 아니라 감독으로서 그가 만들 영화가 바로 그를 닮은 영화, 싫은 일에는 아니라고 말하는 용기와 동시에 좋은 걸 찾아내는 여유가 있는 영화이기를.

 

 

추천기사

  • 2016년 6월 28일 “내게 다큐는 궁금증을 푸는 과정”
  • 2016년 10월 26일 “우리의 할 일을 한 거다”
  • 2016년 7월 8일 “연기는 다른 사람에 관한 질문을 품고 이어 가게 만들어”
  • 2016년 9월 9일 [고급zine] “내게 소수자는 남이 아니다.”
  • 2016년 7월 25일 미-중 카르텔과 사드,남중국해
  • 2016년 7월 25일 터키 쿠데타는 에르도안이 자초한 일
  • 2016년 7월 25일 안녕하세요, 외부 세력입니다
  • 2016년 7월 28일 파랑파랑
About the author

신나리 기자
gemtoday7@gmail.com

워커스 기자
신나리 기자의 다른 기사 →

update: 2016년 7월 27일 14:25
연관된 다른 기사
“시는 나도 모르는 어떤 진실을 가르치는 것”
2016년 12월 22일
“스스로 즐거워야 하고 우리 안에서 즐거워야 해요”
2016년 12월 22일
“보듬어 주고 이해해주는 그림 그리고 글”
2016년 12월 5일
“내 절망이 이렇게 설명될 수 있구나”
2016년 11월 19일
“우리의 할 일을 한 거다”
2016년 10월 26일
“예술은 내가 삶을 사는 방식”
2016년 10월 22일

댓글 남기기 응답 취소

많이 본 기사

Sorry. No data so far.

60호 / 조국을 떠난다

RSS 참세상 기사
워커스

워커스 등록번호: 서대문-라-00126
등록일자: 2017년 3월 13일
발행인 : 강내희, 편집인: 윤지연
서울시 서대문구 독립문로 8길 23, 2층
FAX : (02)701-7112
E-mail : workers@jinbo.net

«워커스»에 실린 글, 사진 등 저작권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모든 자료의 저작권은 «워커스»에 있으며, «워커스»의 동의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login

60호 / 조국을 떠난다

월간 워커스
  • 정기구독자 가입
  • 제보
  • 워커스 소개
  • 광고안내
  • RSS
  • 이번호/지난호 보기
  • 기사 검색
  • facebook
footer-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