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간 워커스

facebook
 
월간 워커스월간 워커스
월간 워커스
  • 정기구독 신청
Menu back  

교섭, 회사와의 기싸움

2016년 7월 22일Leave a comment19호, 싸움의 기술By 윤지연 기자

사진/홍진훤

노동조합을 결성한 노동자들은 임금과 노동 조건 등을 개선하기 위해 회사와 단체 교섭을 벌인다. 노사가 제출한 요구안의 격차가 클수록 양측의 신경전과 언성은 높아지기 마련이다. 그나마 교섭 테이블에라도 앉는다면 다행. 복수 노조 도입으로 창구 단일화 제도가 시행되면서부터 회사의 개별 교섭 동의가 없으면 소수 노조는 교섭도 못 한다. 노조 파괴 시나리오로 민주 노조들이 줄줄이 소수 노조로 전락했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져 있다.

금속노조 지역 지부 간부 A 씨는 “복수 노조가 되면서 교섭에 대응하는 방식이 옛날보다 힘들어졌다”며 “경우의 수가 굉장히 많아져서 사안별로 각각의 전략을 짜 대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어떤 상황이든 노조 간부들은 교섭을 주도하기 위한 필수 요소로 투쟁력과 조직력을 꼽는다. 현장 간부 출신 B 씨는 “투쟁 없는 교섭은 의미가 없다”며 “아무리 말을 잘하는 사람이라도 투쟁력 없이 교섭에서 판가름을 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노조 중앙 간부 출신 C 씨는 교섭은 인내를 반복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회사는 어렵다, 힘들다, 안 된다는 이야기를 반복하고, 노조는 달라, 내놔라, 왜 안 주냐는 이야기를 계속 반복한다”며 “지치는 사람이 내놓게 되어 있다”고 말했다. 특히 회사 측 교섭 위원은 윗선을 거론하며 노조의 요구를 거부하기 일쑤. 그래도 회사 측은 ‘권한 없는 사람들과 교섭을 못 하겠다’, ‘회장과 교섭하겠다’는 말을 질색한다고 한다.

노조의 조직력과 투쟁력이 높을수록 교섭의 기싸움도 팽팽해진다. 교섭에서의 일화도 종종 생긴다. 한 사업장은 회사 부도를 앞두고 노조 위원장이 자신의 집문서를 교섭 자리에 내놓은 적도 있다고 한다. ‘나도 내놓을 테니 너희도 다 내놓고 회사를 정상화하자’는 취지의 퍼포먼스였다. 사장은 그 자리에서 ‘지금 공산주의를 하자는 거냐’고 발끈하기도 했다. 모 완성차 공장에서는 회사가 교섭 장소에 CCTV를 설치해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고, 조선소 공장에서는 교섭 중에 산재를 당한 노조 측 교섭 위원이 의족을 빼서 테이블에 던진 일화도 있다고 한다.

그렇다고 해서 사업장 교섭이 단지 한 사업장의 노사 관계로만 결정되지 않는다. 업종 및 산업별로 눈에 보이지 않는 마지노선이 존재한다. 하청 업체 사업주는 교섭에서 원청사를 뛰어넘는 임금 및 근로 조건은 어렵다는 이야기를 공공연히 한다. 그래서 노동자들은 전체 산업 및 업종 간 공동 투쟁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노조 간부 D 씨는 사측의 말도 안 되는 요구에 말려들지 않도록 당당히 자리를 박차고 나와 흐름을 끊는 것도 중요한 지점이라고 말했다. 교섭 과정에서 조합원들의 분노가 모이면 노조는 파업 수순을 밟게 된다. D 씨는 “노조는 교섭 과정에서 파업권을 획득하게 되며, 조합원들도 이것이 무기가 된다는 것을 안다”며 “조합원들의 분노가 생기면 자연스레 파업을 결행하게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 2016년 6월 2일 용역과 싸워서 이기기는 어렵겠네요 초를 재면서 목을 조르는데
  • 2016년 6월 28일 거지라뇨? 유랑 투쟁 중입니다
  • 2016년 7월 15일 쉽고 친숙한 언어로 나를 선동해 주오
  • 2016년 7월 25일 롤즈의 ‘정의론’
  • 2016년 6월 15일 부당 노동 행위에 대처하기
  • 2016년 6월 8일 인생에 딱 한 번, 목숨 걸고 올인 하는 고공 농성
  • 2016년 7월 4일 “분회장 아니었음 때려치웠다”
  • 2016년 7월 26일 “나라가 다르면 전술도 달라야 한다”
About the author

윤지연 기자
cornshin33@jinbo.net


윤지연 기자의 다른 기사 →

update: 2016년 7월 22일 18:09
연관된 다른 기사
“나라가 다르면 전술도 달라야 한다”
2016년 7월 26일
못된 디자인
2016년 7월 25일
롤즈의 ‘정의론’
2016년 7월 25일
“내 몸 외에 다른 사람 몸을 탐구할 수 있다면 생이 조금 가벼워지지 않을까”
2016년 7월 22일
운동 사회 성폭력 피해자들은 중립 앞에 누구와 단결하나
2016년 7월 22일
버르장머리와 ‘아무 말 대잔치’
2016년 7월 22일

댓글 남기기 응답 취소

많이 본 기사
  • 삼성서울병원은 왜 성균관대 부속 병원이 아닌가
  • 뒤르켐의 ‘자살론’
  • 서울 랜드마크 빌딩의 소유주를 찾아서
  • 아리스토텔레스의 ‘프로네시스’
  • 플라톤의 교육 사상
  • ‘헬스키퍼’로 일하는 시각장애인 노동자입니다
  • 칸트의 ‘영구 평화론’

60호 / 조국을 떠난다

RSS 참세상 기사
  • 부실한 의료 체계 속 코로나19 중환자 고통 가중 2022년 5월 18일
  • 군인의 성적 권리를 지키는 군대 2022년 5월 17일
  • 성소수자들이 대형 무지개 현수막을 국회 앞에 펼친 이유 2022년 5월 17일
  • 전쟁으로 돈 버는 부동산 임대인 2022년 5월 16일
  • 간호인력인권법 폐기 시도에 반발하는 간호사들 2022년 5월 16일
  •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한국 사회운동에 던지는 질문들 2022년 5월 15일
  • 레인보우 패밀리, 딸 인보와 두 아빠의 이야기 2022년 5월 13일
  • 우크라이나와 이스라엘, 우크라이나와 팔레스타인 2022년 5월 12일
  • 임종린 지회장 단식 46일차…5년간 더욱 심해진 SPC의 노조혐오 2022년 5월 12일
  • ‘단 몇 초’만에 노동자가 사업소득자 되는 수법 2022년 5월 12일
  • 팔레스타인 서안지구 취재하던 기자, 이스라엘군 총 맞아 사망 2022년 5월 12일
워커스

워커스 등록번호: 서대문-라-00126
등록일자: 2017년 3월 13일
발행인 : 강내희, 편집인: 윤지연
서울시 서대문구 독립문로 8길 23, 2층
FAX : (02)701-7112
E-mail : workers@jinbo.net

«워커스»에 실린 글, 사진 등 저작권자가 명시되어 있지 않은 모든 자료의 저작권은 «워커스»에 있으며, «워커스»의 동의하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login

60호 / 조국을 떠난다

월간 워커스
  • 정기구독자 가입
  • 제보
  • 워커스 소개
  • 광고안내
  • RSS
  • 이번호/지난호 보기
  • 기사 검색
  • facebook
footer-menu